친절한 상담센터
진료시간 안내
서울드림 둘러보기

관절 클리닉 어깨 관절, 무릎 관절, 발목 관절
어깨의 가장 흔한 통증의 원인으로 어깨 충돌증후군이 있으며 이는 어깨의 봉우리가 되는 견복이라는 뼈와 윗팔뼈가 정상적으로는 부딪힘이 없어야 하는데 어깨 근육의 밸런스가 망가지면서 충돌이 발생하여 어깨의 힘줄에 염증이 생기고 더 나아가 석회질이 쌓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힘줄의 염증을 가라앉히는 주사치료와 어깨 관절의 충돌을 없애기 위해 어깨 교정치료를 병행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단, 충돌증후군을 오랫동안 방치하여 심한 힘줄의 파열이 있는 경우 어깨 수술 전문병원에 의뢰하여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상완골의 대천자 부위((어깨 견봉 밑의 볼록 튀어나온 부위로 극상근의 인대가 부착함)와 견봉 아래 부위에서 뼈 및 인대 조직 등이 충돌하면서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입니다.
엄밀하게는 진단명이 아니라 통증을 일으키는 상태를 일컫는 증상명이지만, 다리에서의 좌골신경통과 같이 어깨 주위 상태를 표현하는 단어로 널리 통용되고 있습니다.
석회성 건염은 인대조직에 석회하 침착하여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어깨 인대 중 극상건에 가장 많이 호발되며(51%~82%), 발생 기전은 인대 내에 국소적인 혈류장애로 인해 건 세포가 연골 세포로 변하면서 석회가 침착하게 됩니다. X-ray를 통해 진단이 가능하며, 단계에 따라 분필가루나 치약 같이 보입니다. 급성 또는 초급성의 심한 통증을 동반하게 되며 병원에 가장 빠르게 내원하게 되는 질환 중 하나입니다.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관절, 무릎
전방십자인대, 후방십자인대, 내측부 인대, 외측부 인대 4개의 튼튼한 인대가 무릎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폄 운동과 굽힘 운동에 관여하는 무릎
무릎관절은 근육, 인대, 관절막 등 관절 외의 조직이 무릎관절의 안정도에 기여한다. 그렇지만 구조상 불안정한 관절이기에 외상에 의한 손상 가능성이 높은 부위입니다.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은 가벼운 통증과 관절운동이 부자연스러워지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계단을 오르내릴 때 무릎이 시큰거리고 아프고, 언덕길을 내려가는 것이 어려워집니다. 좀더 시간이 지나면 가만히 있을 때도 무릎 통증 유발 되며 오랜 시간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관절을 잘 움직일 수 없게 됩니다. 춥고 습한 날씨에 통증이 심해집니다. 안쪽 연골이 닳아 관절이 좁아지면서 다리가 O형으로 휘게 됩니다.
통증, 압통 및 종창과 부종이 전형적인 증상으로 급성기에는 체중을 싣고 서기가 힘들 정도입니다. 심한 손상의 경우 다치는 순간 인대가 끊어지는 파열음을 들을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초기 안정과 부종을 감소시키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인대의 파열을 확인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인대의 파열 정도에 따른 적절한 치료 역시 필요합니다. 부분 파열의 경우 체외충격파 및 인대강화주사를 이용한 치료는 부종이 감소한 후 시행됩니다. 완전 파열이며 활동력이 많은 경우 봉합술을 통한 빠른 재활치료가 필요합니다.